2025/07/09 2

노코드 Make를 이용한 GPT API 응답 흐름 시각화 가이드

챗봇이 아닌 '대화형 서비스'로 가기 위해선 흐름을 설계해야 한다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이제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콘텐츠와 서비스 구조를 완전히 바꾸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질문에 맞춰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형 챗봇, 개인화된 가이드를 생성하는 리포트 챗봇, 맞춤 콘텐츠를 만들어주는 템플릿 챗봇 같은 다양한 형태의 AI 도구들은 단지 답변 기능을 넘어, 지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설계할 수 있는 디지털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다.하지만 이러한 AI 기반 서비스는 단순히 GPT API에 질문을 던지고 답을 받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는다. 실제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받아들여 처리하고, 응답을 정제해 보여주며, 그 결과를 저장하거나 다시 활용하는 과정은 하나의 복잡한 정보 흐름을 요구한다. 개발 환경이라면 이..

노코드 + AI 조합으로 수익형 챗봇 만들기

정보 소비는 ‘읽는 것’에서 ‘묻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사람들은 점점 긴 텍스트보다 짧고 간결한 요약 정보를 선호한다.특히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대중화 이후,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웹사이트보다는 사용자가 직접 묻고 대답받는 구조의 정보 경험이 확산되고 있다.즉, 콘텐츠 중심 소비에서 대화형 정보 탐색으로 이동 중인 것이다.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최근에는 GPT API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형 챗봇 서비스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그리고 이 챗봇들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실제로 수익을 창출하는 디지털 제품으로 성장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정 국가의 이민 절차 안내 챗봇, 특정 도시의 여행 정보 요약 챗봇, 혹은 노코드 툴 사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자동 응답 챗봇 등은 사용자에게 실질..